전체보기
-
Daily 경제금융용어 - 레버리지 효과, 레버리지비율경제/Daily 경제금융용어 2021. 4. 12. 19:16
레버리지 효과(leverage effect) : 안정성을 추구하는 저축과 달리 투자에서는 종종 레버리지 효과가 발생한다. : 금융에서는 실제 가격변동률보다 몇 배 많은 투자수익률이 발생하는 현상을 지렛대에 비유하여 레버리지로 표현한다. : 투자에서 가격변동률보다 몇 배 많은 투자수익률이 발생하려면, 즉 레버리지 효과가 나타나려면, 투자액의 일부가 부채로 조달되어야 한다. 레버리지 효과는 총투자액 중에서 부채의 비중이 커지면(자기자본의 비중이 작아지면) 증가하게 된다. : 원천적으로 레버리지가 내재한 투자의 예로 전세를 끼고 주택을 매입한 경우를 상정하자. : 10억원인 아파트를 8억원의 전세를 끼로 자기자본 2억원으로 매입하였다면, 투자 레버리지(=총투자액/자기자본)는 5배(=10억원/2억원)가 된다. ..
-
Daily 경제금융용어 - 래퍼곡선, 레그테크경제/Daily 경제금융용어 2021. 4. 11. 18:48
래퍼곡선(Laffer curve) : 미국의 경제학자 래퍼(A. Laffer)가 제시한 조세수입과 세율 간의 관계를 나타낸 곡선을 말한다. : 래퍼는 세율이 0%에서 100%로 증가할 때 조세수입은 상승하다가 정점에 이른 후 다시 하강한다면서, 세율(t)을 수평축에 조세수입(T)을 수직축에 놓고 이들의 관계를 그려보면 역 U자 모양의 곡선이 된다고 주장하였다. : 래퍼곡선에 따르면 세율이 높아지면 초기에는 세수가 늘어나나 일정 수준(t*)이 넘으면 오히려 감소하므로 현재의 세율이 세수가 가장 많은 수준(t*)을 넘지 않았다면 세수증대를 위해서는 세율을 올려야 하며 반대로 현재의 세율이 세수가 가장 많은 수준을 넘었다면 감세가 세수증대에 도움이 된다. : 래퍼곡선은 미국 레이건 정권의 감세 정책을 뒷받침한..
-
Daily 경제금융용어 - 디스인플레이션, 디커플링/커플링, 디플레이션경제/Daily 경제금융용어 2021. 4. 6. 16:52
디스인플레이션(disinflation) : 물가수준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나 물가상승률은 둔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 예를 들어 소비자물가상승률이 2015년에는 5.0%이었으나 2016년에는 3.5%, 2017년에는 2.0% 등으로 낮아지는 경우 매년 물가상승률이 0보다 크기 때문에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수준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지만, 상승률은 5.0% -> 3.5% -> 2.0% 로 낮아지고 있는데 바로 이러한 현상을 디스인플레이션이라 한다. : 디스인플레이션은 단기간에 그치면 크게 걱정할 일이 아니다. : 예를 들어 에너지가격 하락이나 생산성 증대 등 공급요인으로 인한 일시적인 물가상승률의 둔화는 경제에 이로울 수 있다. 그러나 디스인플레이션이 계속돼 물가상승률의 추가적인 하락이 전망되는 경우..
-
[NEWS] 전 세계 클라우드 시장 지난해 4분기 399억달러 '사상최대'관심사 스크랩 2021. 4. 6. 15:44
아마존 웹 서비스(AWS)는 4분기 전체 시장의 31%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다. 4분기에만 50% 이상 급증한 마이크로소프트(MS)의 Azure는 시장점유율 20%로 2위를 기록했다. 구글 클라우드는 7%의 점유율로 3위, 이어 알리바바 클라우드는 4분기에 54% 성장해 전체 시장의 6%를 차지했다. newsis.com/view/?id=NISX20210204_0001330039 전 세계 클라우드 시장 지난해 4분기 399억달러 '사상최대' [서울=뉴시스] 김종민 기자 = 지난해 4분기 전 세계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이 399억달러(약 44조6300억) 규모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32% 늘어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www.newsis.com
-
Daily 경제금융용어 - 디레버리징경제/Daily 경제금융용어 2021. 4. 3. 16:51
디레버리징(deleveraging) : 부채를 축소하는 것을 말한다. : 미시경제 측면에서 보면, 가계나 기업 등 개별 경제주체의 대차대조표에서 부채의 비중을 낮추는 것을 의미한다. : 경기가 호황일 때는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로 자금을 차입하여 수익성이 높은 곳에 투자해 빚을 상환하고도 수익을 많이 낼 수 있는 레버리지(leverage)가 효과적인 투자기법이 된다. : 그러나 경기가 불황일 때는 자산가치가 급격히 하락하여 수익성이 낮아지고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므로 부채를 상환, 정리, 감축하는 디레버리징이 효과적인 투자기법이 된다. : 디레버리징을 위해서는 경제주체는 자산을 매각하거나 증자를 하거나 해서 자금을 조달해야 한다. 디레버리징은 자금난을 겪고 있는 민간부문에게는 고통스러운 과정인데, ..
-
Daily 경제금융용어 - 듀레이션, 등록발행경제/Daily 경제금융용어 2021. 4. 2. 20:22
듀레이션(duration) : 채권에서 발행하는 현금흐름의 가중평균만기로 투자자금의 평균회수기간을 의미한다. : 듀레이션은 채권의 현금흐름 발생기간(t)에 각 시점 현금흐름의 현재가치가 채권가격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가중치로 곱하여 산출한다. 채권의 발행만기는 최종 현금흐음 시점을 나타내는데 비해 듀레이션은 만기 이전에 발생하는 모든 현금흐름을 감안한 평균회수기간이기 때문에 만기 이전에 현금흐름이 발생하는 이표채권의 듀레이션은 항상 채권의 발행만기보다 짧다. 할인채의 경우 현금흐름이 만기시점에 한번만 존재하므로 듀레이션과 만기가 같다. 듀레이션은 채권의 만기, 표면금리, 만기수익률 등에 따라 결정된다. 먼저 듀레이션은 일종의 만기 개념이므로 만기에 비례하여 길어진다. 또한 채권의 표면금리가 높을수록 초기에..